
백준을 풀다보니 시간 복잡도나 효율성 문제 때문에, 아주 기초적인 문법 지식만으로 문제를 푸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는 걸 느끼게 되었다. 또 예전에 파이게임 만들어보면서 enumerate나 list comprehension을 사용했을 때 느낀 편리함...이 생각이 나서 다시 복습할 겸 정리를 해보았다. 얼마 전 마크다운(Markdown)이라는 걸 알게 됐는데, 너무나 깔끔한 게 좀 써먹어보고 싶어서 Jupyter notebook을 이용해 정리해봤다ㅎㅎ 여기까지가 enumerate의 간단한 개념이다. 이름은 좀 거대(?)해 보이지만, 막상 알아보니 굉장히 단순한 개념이었다! 앞으로 잘 써먹어 봐야지>

❗알아야 할 기본 개념❗ # Series & DataFrame -> pandas에서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 오브젝트이다. Q. 둘의 차이점은? -> Series는 1차원 배열 -> DataFrame은 2차원 배열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1. Series 이용해보기 Series의 주요 특징은 값의 인덱스가 같이 저장된다는 것이다. 그래서 Series 객체 s를 생성한 다음, 출력해보면 위의 사진과 같이 0부터 5까지 6개의 인덱스와 함께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. 값은 s를 생성할 때 안에 넣어준 리스트 값이 순서대로 나온 것이다. 2. DataFrame 이용해보기 1) 우선, date_range()를 사용하..

1. 판다스(Pandas)란? Pandas는 python 파이썬 외부 공학용 라이브러리이다. 데이터를 표 형태의 데이터프레임에 넣어서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. (엑셀 같은 느낌) 2. 기본 설정 우선 툴은 Jupyter notebook이나 google colab를 사용할 수 있다. 나의 경우 Jupyter notebook을 사용하기로 했다. 우선, 아래와 같이 numpy와 pandas를 import 해준다. +그래프를 그리기 위해서는 import matplotlib.pyplot as plt 를 해줘야 한다. *numpy = 배열 구조, 랜덤 값 생성들을 위해 필요 3. 사용방법 공식 문서⬇ 10 minutes to pandas — pandas 1.2.0 documentation This is a s..